Command Manual-[KO]
Supported Languages
WIZ750SR Command Overview
WIZ750SR은 제품의 설정 및 제어를 위해 다양한 커맨드 셋을 제공합니다. 각 커맨드는 2-byte의 알파벳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만 허용합니다. 이러한 커맨드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시리얼 장치(혹은 메인 MCU)에 스크립트를 추가하여 상황에 따라 제품의 설정을 변경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WIZ750SR 모듈을 제어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제작 할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커맨드는 parameter의 유무에 따라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읽기 전용 커맨드도 존재합니다.
시리얼 포트를 통한 제품의 커맨드 모드 전환과 커맨드 입력은 Data UART port를 통해 수행되며, Debug UART port는 커맨드의 입력과 수행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커맨드를 활용하여 시리얼과 이더넷 네트워크으로 제품을 설정 할 때, 동일한 2-byte 문자열 커맨드를 활용하지만 전송 프레임 형태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때문에 본 문서에는 커맨드 전체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각각의 전송 방법에 대한 프레임 형태 및 가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방향의 커맨드 모드에 대한 진입 방법과 활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즈네트에서 제공 하는 **제품 설정 프로그램(Configuration tool)**도 동일한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WIZ750SR 제품을 제어합니다.
-
예를 들어, 제품의 MAC 주소를 확인하는 MC 커맨드와 펌웨어 버전을 확인하는 VR 커맨드와 같은 경우.
Abbreviations
CR | Carriage Return, 커서를 맨 왼쪽 시작 위치로 이동 ('\r', 0x0D) |
---|---|
LF | Line Feed, 커서를 한 칸 아래로 이동하여 새 줄 추가 ('\n', 0x0A) |
N | 커맨드의 개수 |
RW | 읽기와 쓰기 가능(Read / Write) |
RO | 읽기 전용(Read only) |
WO | 쓰기 전용(Write only) |
Usage of Command Set
Entering Serial Command Mode
다음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시리얼 커맨드 모드로 진입 할 수 있습니다.
- 1. 하드웨어 트리거 핀을 이용한 커맨드 모드 진입
- WIZ750SR의 HW_TRIG 핀(EVB의 경우, HW_TRIG 스위치)을 이용하여 커맨드 모드로 진입 할 수 있습니다.
- 제품의 전원 인가 시, 해당 핀을 체크하여 커맨드 모드로 진입하며 이후 하드 웨어 트리거 핀을 이용하여 다시 커맨드 모드로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품을 Reboot 하여야 합니다.
- 해당 핀은 Pull-up 상태이며, Low Active로 동작합니다.
- 제품 동작 시, 초기에 한 번의 설정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하드웨어 트리거 핀(HW_TRIG)을 Low로 인가합니다.
* EVB의 경우, HW_TRIG 스위치를 Command로 위치 시킵니다.- WIZ750SR을 Power on 시킵니다.
* 시리얼 커맨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Debug UART port를 통해 다음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SEG:AT Mode- 설정이 필요한 항목의 Command와 Parameter를 시리얼(Data UART port)로 입력합니다.
- EX 커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합니다.
* 성공적으로 데이터 모드로 전환 된 경우, Debug UART port를 통해 다음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SEG:GW Mode
- 2.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를 이용한 커맨드 모드 진입
- WIZ750SR 제품에서 지원하는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를 이용하여 커맨드 모드로 진입 할 수 있습니다.
-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는 제품 설정 프로그램에서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 사용 여부가 허용(Enabled) 되어 있어야 활용 가능합니다. (default: Enabled)
-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는 3-byte Hex 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다른 값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단 해당 코드는 Hex 값 만을 허용합니다. (default: Hex [2B][2B][2B] (Char '+++'))
- 제품 설정 프로그램(Configuration Tool)의 'Serial command mode switch code' 항목 Enable 여부와 3-bytes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를 확인합니다.
- Data UART port로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를 입력하여 모드를 변경합니다.
* 아래 '커맨드 모드 전환 시 주의점'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 시리얼 커맨드 모드로 정상 변경된 경우, Debug UART port를 통해 다음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SEG:AT Mode - 설정이 필요한 항목의 Command와 Parameter를 시리얼로 입력합니다.
- EX 커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로 전환합니다.
* 성공적으로 데이터 모드로 전환 된 경우, Debug UART port를 통해 다음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SEG:GW Mode
Trigger code를 이용한 커맨드 모드 전환 시 주의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3-byte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의 전, 후로 500m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없는 시간 간격(Time gap)이 있어야 전환 코드로 인식합니다.
- 3-byte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의 각 byte 간 사이의 입력 시간 간격이 500ms 이하여야 합니다.
-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의 말미에는 CR과 LF를 붙이지 않습니다.(이와 반대로, 모드 전환 후 입력 될 시리얼 커맨드의 경우에는 각 커맨드의 마지막에 CR과 LF를 붙여야 합니다.)
- 커맨드 모드 전환 코드 전, 후 간격과 사이 간격의 초기 값은 500ms이며, 시리얼 데이터 패킹 옵션의 Timer 값이 설정된 경우 간격 값은 설정된 Timer 값으로 변경됩니다.
Serial Command Frame Format
각 커맨드의 끝에는 CR과 LF가 포함되어야 하며, 여러 개의 커맨드를 한 번에 입력 할 경우 각각 커맨드의 끝에 CR과 LF가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Get Request
[2-bytes Command Code] [CR] [LF]
- Parameter 없이 커맨드만 입력합니다.
- 입력한 커맨드에 해당하는 Response가 Return 됩니다.
Set Request
[2-bytes Command Code] [Parameters] [CR] [LF]
- 커맨드와 설정하고자 하는 parameters를 함께 입력합니다.
- 별도의 Response는 없으며, 커맨드에 해당하는 필드 값의 변경이 즉시 이루어집니다.
- 변경된 사항의 저장을 위해서 SV 커맨드를 이용한 저장이 이루어져야 하며, IP 할당 방법 변경 등의 초기 동작 변경 사항은 RT 커맨드를 이용한 Reboot 이후에 적용됩니다.
* 참고: EC 커맨드를 이용하여 UART 입력의 Echoback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ommand over Ethernet
다음과 같은 형태로 커맨드를 활용하면, Ethernet을 통해 제품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사용자는 UDP 혹은 TCP 클라이언트